2025년 6월 10일 전일시황 요약
총 요약
트럼프 머스크 화해
외국인 강한 매수세
외국인 투자자들의 대규모 순매수가 시장을 견인했습니다. 외국인은 코스피에서 9,766억원, 코스닥에서 1,516억원의 순매수를 기록했으며, 개인과 기관은 매도세를 보였습니다.
삼성전자 6만원 회복
삼성전자는 6만원을 회복하며 시장 심리 개선에 기여했습니다. SK하이닉스도 2% 상승하는 등 반도체 대형주가 지수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지역화폐·증권주 급등
정부의 지역화폐 확대 정책 기대감에 코나아이, 갤럭시아머니트리, 다날 등 관련주가 15~25% 급등했습니다. 자본시장 활성화 기대감에 증권주들도 동반 상승했습니다.
원화 강세
원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2.0원 하락한 1,356.40원에 마감했습니다. 미중 무역 갈등 완화 기대감과 외국인 자금 유입이 원화 강세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미국 시장 요약 (2025년 6월 9일 종가 기준)
미국 주요 지수 종가
다우존스: 42,761.76 (-0.00%)
S&P 500: 6,005.88 (+0.09%)
나스닥 종합지수: 19,591.24 (+0.31%)
러셀 2000: 2144.93 (+0.59%)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5,136.66 (+1.96%)
📌 주요 이슈 요약
- 미중 무역 협상 진행
영국 런던에서 미국과 중국의 2차 고위급 무역 협상이 진행되었습니다. 양국의 산업 소재와 기술에 대한 수출 제한 조치가 주요 의제로 다뤄졌으며, 시장은 이번 협상 결과를 기다리는 분위기였습니다. - 투자자들의 관망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협상단으로부터 “좋은 보고를 받고 있다”면서도 “중국은 쉽지 않다”고 언급하며 경계심을 높였습니다. 투자자들은 협상 결과에 따라 시장 방향성이 결정될 것으로 보고 관망세를 유지했습니다. - 테슬라 주가 상승
트럼프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간의 갈등이 일단락되는 모습을 보이며 테슬라 주가는 4.5% 상승했습니다. 이는 기술주 매수세를 강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 경제지표 영향
지난주 발표된 5월 비농업 고용지표가 예상치를 웃돌며 경기침체 우려를 완화했습니다. 이에 따라 이번 주 초반 거래에서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모습이었습니다.

한국 시장 요약
주요 지수 종가
KOSPI: 2,855.77 (+1.55%)
KOSDAQ: 764.21 (+1.06%)
📌 주요 이슈 요약
- 외국인 강한 매수세
외국인 투자자들의 대규모 순매수가 시장을 견인했습니다. 외국인은 코스피에서 9,766억원, 코스닥에서 1,516억원의 순매수를 기록했으며, 개인과 기관은 매도세를 보였습니다. - 삼성전자 6만원 회복
삼성전자는 6만원을 회복하며 시장 심리 개선에 기여했습니다. SK하이닉스도 2% 상승하는 등 반도체 대형주가 지수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 지역화폐·증권주 급등
정부의 지역화폐 확대 정책 기대감에 코나아이, 갤럭시아머니트리, 다날 등 관련주가 15~25% 급등했습니다. 자본시장 활성화 기대감에 증권주들도 동반 상승했습니다. - 원화 강세
원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2.0원 하락한 1,356.40원에 마감했습니다. 미중 무역 갈등 완화 기대감과 외국인 자금 유입이 원화 강세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주요 지수 1일~1년 등락률
📊 주요 경제 지표 요약 (2025년 6월 05일 기준)
💱 환율
USD/KRW: 1,356.86원 (+0.17%, 14:57 기준)
💵 미국 국채금리 (Investing 기준)
3개월물: 4.356%
10년물: 4.475%
📊 버핏지수 (Buffett Indicator)
현재 수치: 200.3
해석: 총 시가총액 / GDP = 200.3% → “Significantly Overvalued” (상당히 고평가됨)
참고 지표 구간:
160% 초과: 📈 상당히 고평가됨
135~160%: 📈 보통 고평가됨
111~135%: ⚖️ 적정 가치
86~111%: 📉 보통 저평가됨
86% 이하: 📉 상당히 저평가됨
😨 Fear & Greed Index
현재 수치: 62
상태: Greed (탐욕)
“시장이 탐욕 구간에 진입하며 투자 심리가 긍정적으로 전환”
⚙️ 3. 원자재 시장 (Investing 기준)
🛢️ WTI 유가: $65.33 (-0.08%)
🪙 금(Gold): $3,320 (+0.15%)
⚙️ 구리(Copper): $4.89 (+0.07%)
📢 2025년 6월 5일 경제 지표 발표 요약
발표 없었음.
3. 전일 주도 테마 요약 (2025년 5월 30일 기준)

📈 미국시장 주도섹터
기술 (Technology) [+1.2%]
대표종목: Palantir Technologies(+6.5%), Microsoft
Palantir 등 AI·빅데이터 관련주가 강세를 주도하며, 기술 대형주 전반이 실적 기대감과 AI 투자 확대로 상승.
에너지 (Energy) [+1.9%]
대표종목: ExxonMobil, Chevron
국제 유가 반등과 에너지 업종 배당 매력 부각, 경기 회복 기대감에 힘입어 대형 에너지주가 강세.
소비재 (Consumer Discretionary) [+1.3%]
대표종목: Amazon, Tesla
소비심리 개선과 금리 안정, 성장주 선호 현상에 힘입어 대표 소비재 종목들이 시장을 주도하며 상승, Tesla 는 트럼프와 화해무드로 급등
📈 미국시장 급등주 Top 10
순위 | 종목 (티커) | 가격 (USD) | 변화 | 섹터 | 뉴스 요약 | 링크 |
---|---|---|---|---|---|---|
1 | Ohmyhome Limited (OHM) | 2.41 | +299.34% | 금융, 부동산 | 뚜렷한 재료 없이 극단적 저유동성 및 투기적 거래세력 유입 추정. 실적·사업 변화 없이 단기 급등. | TradingView |
2 | Know Labs, Inc. (KNW) | 3.04 | +94.87% | 전자 기술 | Greg Kidd가 1,000 비트코인으로 지배지분 인수, Know Labs가 비트코인 재무전략 채택 발표로 투자심리 급등. | Benzinga |
3 | Nano Labs Ltd (NAN) | 11.31 | +69.06% | 전자 기술 | 6개 기관투자자와 1억 5백만 달러 규모 사모 투자 체결, 대규모 자본 유입 기대감. | Ainvest |
4 | CF GLOBAL INC (SSA) | 36.22 | +64.64% | 금융 | State Street가 인수 합의, 글로벌 아웃소싱 트레이딩 솔루션 업체로 주목. | Lincoln International |
5 | K Wave Media, Ltd. (KWM) | 5.51 | +62.06% | 금융 | 5억 달러 규모 비트코인 재무 전략 발표, 엔터테인먼트 IP 창작사로 주목. | Investing.com |
6 | Twin Hospitality Group Inc. (TWNP) | 6.34 | +49.88% | 기타 (Miscellaneous) | FAT Brands에서 스핀오프, Kim Boerema 신임 CEO 임명, 구조조정 및 성장 전략 발표. | Investing.com |
7 | Fractyl Health, Inc. (GUTS) | 2.88 | +44.72% | 의료 기술 | 2024년 2월 IPO로 $1.1억 조달, 당뇨·비만 치료 의료기기 개발 기대감. | CNBC |
8 | Synaptogenix, Inc. (SNPX) | 3.48 | +44.40% | 의료 기술 | Bryostatin-1 기반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제, FDA 다발성 경화증 IND 승인. | Synaptogenix IR |
9 | XTI Aerospace, Inc. (XTIA) | 2.57 | +38.17% | 테크놀로지 서비스 | TriFan 600 VTOL 항공기 개발, FAA 타입 인증 진행, $5M 자사주 매입 발표. | CNN Markets |
10 | Newegg Commerce, Inc. (NEGG) | 13.69 | +31.63% | 리테일 트레이드 | 20:1 주식병합으로 나스닥 요건 충족, 중국 관세 유예 소식에 급등1. | Financhill |
미국시장 급락주 Top 10
순위 | 종목 (티커) | 가격 (USD) | 변화율 | 섹터 | 뉴스 요약 | 링크 |
---|---|---|---|---|---|---|
1 | ReShape Lifesciences, Inc. (RSLS) | 2.60 | -37.80% | 의료 기술 | 6월 9일, RSLS는 1,054,604주를 주당 2.50달러에 신규 발행하는 유상증자(공모)를 발표, 주식가치 희석 우려로 급락 | 뉴스보기 |
2 | Children’s Place, Inc. (PLCE) | 4.65 | -32.22% | 리테일 트레이드 | 1분기 실적 부진, 매출·이익 급감 및 경기 불확실성, 관세 부담, 소비 위축 등으로 투자심리 악화, 대량 매도 | 뉴스보기 |
3 | SharpLink Gaming, Inc. (SBET) | 29.43 | -29.05% | 코머셜 서비스 | 4월 나스닥 상장폐지 후 OTC 이전, 유동성·신뢰도 하락 및 합병 지연 등으로 투자심리 악화 | 뉴스보기 |
4 | Hennessy Capital Investment Corp. VI (NNAM) | 22.55 | -27.77% | 금융 | 현금 소진 우려와 실적 부진, 80% 이상 연간 주가 하락. 나스닥 최소가 요건 미달로 상장폐지 위험, 경영진 이탈 등 악재 | 뉴스보기 |
5 | IN8bio, Inc. (INAB) | 3.08 | -26.14% | 의료 기술 | 감마-델타 T세포 치료제 개발사, 1:30 주식분할 후 주가 변동성 확대 및 재무 불안 | 뉴스보기 |
6 | Lyra Therapeutics, Inc. (LYRA) | 18.42 | -24.16% | 의료 기술 | 만성 부비동염 치료제 임상 3상 실패, 75% 인력 감축, 1:50 역분할 등 악재 | 뉴스보기 |
7 | SS Innovations International Inc. (SSI) | 4.58 | -23.67% | 의료 기술 | 인도 수술용 로봇 제조업체, 2025년 4월 나스닥 상장, 매출 성장 둔화 및 단기 실적 부진 | 뉴스보기 |
8 | Roma Green Finance Limited (ROMA) | 2.86 | -22.70% | 코머셜 서비스 | 기후 지속가능성 서비스 제공, 케이맨 제도 법인, 소형주 특유의 유동성 및 변동성 영향 | 뉴스보기 |
9 | Viewbix Inc. (VBIX) | 5.30 | -20.23% | 전자 기술 | 이스라엘 광고 플랫폼, 나스닥 상장, 1분기 매출 73% 급감 | 뉴스보기 |
10 | NETCLASS TECHNOLOGY INC (NTCL) | 2.10 | -19.85% | 테크놀로지 서비스 | 중국 온라인 교육 플랫폼, 2024년 12월 IPO, 매출 성장 둔화 및 시장 변동성 | 뉴스보기 |
3.5 한국 시장 테마 요약
📈 주도테마
디지털자산/블록체인 테마 (4종목): 새 정부의 원화 스테이블코인 정책과 블록체인 기술 융합 기대감
이재명 정부가 대통령실 초대 정책실장으로 블록체인 전문가 김용범을 임명하면서 디지털 자산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급증했습니다. 다날은 페이코인 발행 및 간편결제 서비스로 디지털 자산 테마의 핵심 수혜주로 부각되고 있으며, 넥써쓰는 i에이전트프로토콜과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블록체인 게임과 AI 기술을 융합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한국정보인증은 블록체인 기반 전자서명 서비스와 블록체인 키 관리 시스템(BKMS)을 통해 디지털 인증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바이오/헬스케어 테마 (2종목): K-뷰티와 동물의약품 분야의 기술 혁신
내츄럴엔도텍은 천연물 기반 신약개발과 백수오 등 복합추출물을 활용한 건강기능식품으로 미국 FDA 승인을 획득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에 성공했습니다. 애드바이오텍은 동물 면역항체 전문 기업으로서 프론트바이오와 동물용 항바이러스제 기술이전 협약을 체결하여 소모성 질병 예방치료제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새 정부 정책 기대 테마 (3종목): 정부 교체에 따른 정책 변화 수혜 기대감
새 정부 출범과 함께 다양한 정책 변화에 대한 기대감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신성통상은 최대주주의 자진상장폐지를 위한 공개매수 재추진으로 구조조정 관련 수혜를 받고 있으며, 더즌은 B2B 비즈니스 혁신 기업으로서 새 정부의 친기업 정책 기대감이 반영되고 있습니다. 제이에스티나는 글로벌 럭셔리 브랜드로서 소비재 업종 회복 기대감과 새 정부의 내수 활성화 정책이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벤처캐피탈/투자 테마 (1종목): 창업 생태계 활성화 정책 기대감
TS인베스트먼트는 중소기업창업투자사로서 새 정부의 벤처투자 활성화 정책과 모태펀드 확대에 따른 수혜를 받고 있습니다. 2025년 정부가 모태펀드 출자 예산 1조원을 조기 공급하고 창업 초기 및 지방 분야 펀드 출자 규모를 대폭 확대한다는 계획이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IT/자동화 테마 (1종목): 금융 디지털화와 자동화 수요 증가
케이씨티는 금융단말 및 특수단말 제조업체로서 금융권의 디지털 전환과 자동화 수요 증가에 따른 수혜를 받고 있습니다. 통장프린터, 카드발급기, 키오스크시스템 등 다양한 자동화기기를 공급하며 국내 금융 IT 솔루션 시장에서 안정적인 위치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 급등주 Top 10
순위 | 종목(티커) | 가격(KRW) | 변화율 | 6월 9일 급등 요약 | 링크 |
---|---|---|---|---|---|
1 | 신성통상 (005390) | 3,925 | +29.97% | 최대주주의 자진상장폐지 위한 공개매수 재추진 소식. 52주 최고가 경신, 구조조정 기대감 반영 | https://biz.chosun.com |
2 | 내츄럴엔도텍 (168330) | 4,300 | +29.91% | 바이오 업종 전반 강세, 일반의약품·건강기능식품 사업 기대감 부각 |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250609023414289 |
3 | 다날 (064260) | 4,565 | +29.87% | 이재명 정부 디지털 자산 정책 기대감, 페이코인·간편결제 서비스 수혜주 부각 | https://www.widedaily.com |
4 | 애드바이오텍 (179530) | 2,485 | +29.77% | FDA 3상 플로라-5 임상시험 자금 확보 위해 100억원 전환사채 발행, 동물 면역항체 전문기업 | https://biz.chosun.com |
5 | 넥써쓰 (205500) | 3,410 | +27.00% | AI 에이전트프로토콜과 업무협약, 블록체인-AI 융합 사업 확대, 디지털 자산 정책 기대감 | https://www.gameple.co.kr |
6 | 한국정보인증 (053300) | 7,800 | +26.01% | 블록체인 전문가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 임명, 원화 스테이블코인 정책 기대감 | https://www.widedaily.com |
7 | 제이에스티나 (026040) | 3,275 | +24.76% | 새 정부 출범 따른 소비재 업종 회복 기대, 기관 매수세 유입 | https://alphasquare.co.kr |
8 | 더즌 (462860) | 3,395 | +23.68% | 신정부 정책 변화 관련 테마주, 거래량 급증 |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250609023414289 |
9 | 티에스인베스트먼트 (246690) | 1,959 | +20.33% | 새 정부 정책 기대감, 투자심리 개선 영향 |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250609023414289 |
10 | 케이씨티 (089150) | 4,595 | +19.66% | 관련 업종 전반 강세, 정책 기대감 반영 |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250609023414289 |
📉 급락주 Top 10
순위 | 종목(티커) | 가격(KRW) | 변화율 | 6월 9일 급락 요약 | 링크 |
---|---|---|---|---|---|
1 | 제넨바이오 (072520) | 31 | -92.03% | 상장폐지를 앞두고 정리매매 첫날 90%대 급락. 3월 회생절차 개시 후 인수자 확보 실패, 18일 최종 상장폐지 예정 | https://www.chosun.com/economy/money/2025/06/09/JSUTHNB2J6LZ6VBESIAKBGR37M/ |
2 | 위니아 (071460) | 59 | -90.38% | 김치냉장고 딤채로 유명. 경영난·임금체불로 법정관리 진입, 인수자 확보 실패로 정리매매 첫날 90%대 폭락, 18일 상장폐지 확정 |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60919016 |
3 | 가이아코퍼레이션 (296520) | 1,610 | -16.04% | 인수 추진 과정에서 구조조정 불확실성과 시장 우려 반영 | – |
4 | 엔지브이아이 (093510) | 3,710 | -14.91% | 바이오 업종 전반적 조정과 개별 기업 실적 우려로 하락 | – |
5 | 주식회사 수프로 (185190) | 758 | -14.83% | 신규상장 기업의 초기 변동성과 시장 적응 과정에서 조정 | – |
6 | 아퓨어스 (149300) | 60 | -13.04% | 바이오벤처 업종 약세 및 임상 관련 불확실성으로 하락 | – |
7 | 인터로이드 (311960) | 2,275 | -12.16% | IT 관련 업종 조정 및 기술기업 밸류에이션 부담 작용 | – |
8 | 형지아이앤씨 (011080) | 1,067 | -11.75% | 건설 관련 업종 하락 및 부동산 시장 불확실성 영향 | – |
9 | 메디젠휴먼케어 (236340) | 1,800 | -11.33% | 헬스케어 업종 조정 및 의료 서비스 관련 우려로 하락 | – |
10 | 코스맥스엔비티 (222040) | 5,050 | -10.14% | 화장품 업종 일부 조정 및 소비 둔화 우려 반영 | – |
한국시장 가장 많이 거래된 주식 Top 3
🥇 한국정보인증 (053300) [+26.01%]
주가 급등 배경: 이재명 정부가 대통령실 초대 정책실장으로 블록체인 전문가 김용범을 임명하면서 디지털 자산 정책 기대감이 급증했습니다. 김용범 실장은 해시드오픈리서치 대표를 역임하며 원화 스테이블코인 정책을 주장해온 인물로, 관련 정책 방향에 대한 기대감으로 디지털 인증 관련주에 매수세가 집중되었습니다.
🥈 더즌 (462860) [+23.68%]
주가 급등 배경: 새 정부 출범과 관련된 정책 테마주로 분류되며 투자자들의 관심이 급증했습니다. 일일 거래량 기준으로 두 번째로 활발하게 거래되며 신정부 정책 변화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었습니다.
🥉 우리기술 (032820) [+4.17%]
주가 급등 배경: 체코와 한국수력원자력의 26조원 규모 신규 원전 건설 계약 체결 소식이 긍정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우리기술은 원전 감시제어시스템 전문 제조업체로서 원자력 관련 정책 기대감과 함께 수혜를 받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4.📢 주요 공시 요약 <출처: 전자공시시스템 | 유가증권시장 최근 공시 기준>
구분 | 기업명 | 공시 내용 요약 |
---|---|---|
공개매수 | 신성통상 | 공개매수신고서 및 공개매수설명서 공시 – 가나안의 공개매수 진행, 지배구조 변화 가능성 |
공급 계약 | 두산에너빌리티 |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공시 – 매출 및 수익성 긍정적 영향 |
공급 계약 | HS화성 | [기재정정]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공시 – 계약 정보 수정 가능성 |
공급 계약 | 두산 |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자회사의 주요경영사항) 공시 – 그룹 매출에 긍정적 영향 |
공급 계약 | 동아지질 |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자율공시) 공시 – 매출 및 수익성 증대 |
공급 계약 | 도화엔지니어링 | [기재정정]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공시 (총 3회) – 정보 수정 |
공급 계약 | 코오롱글로벌 | [기재정정]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공시 – 계약 정보 수정 |
공급 계약 | 수산인더스트리 | [기재정정]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공시 – 매출 영향 가능 |
공급 계약 | 코오롱 | [기재정정]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자회사의 주요경영사항) 공시 – 그룹 실적 영향 |
기타 | 인스코비 | 자기전환사채 만기 전 취득 결정 공시 – 부채 감소 및 재무 개선 효과 |
자산 재평가 | 한솔제지 | 자산재평가 실시 결정 (자율공시) 공시 – 자산 가치 및 재무구조 변화 |
자산 취득 | 와이투솔루션 |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양수 결정 공시 – 사업 확장 가능성 |
자본 조달 | 한창 | 유상증자 또는 주식 관련 사채 등의 발행 결과 (자율공시) 공시 – 자본금 변동, 주식 수 변화 |
자본 조달 | 비비안 | 유상증자 또는 주식 관련 사채 등의 청약 결과 (자율공시) 공시 – 자본금 변동, 주식 수 변화 |
자본 조달 | 메리츠금융지주 | 유상증자 결정 (자회사의 주요경영사항) 공시 – 그룹 자본 확충 |
소송/법률 | 국보 | 소송 등의 판결ㆍ결정 (일정금액 이상의 청구) 공시 – 법적 리스크 |
신규 투자 | SK케미칼 | [기재정정] 신규시설투자 등 공시 – 성장 동력 확보 관련 |
신규 투자 | SK디스커버리 | [기재정정] 신규시설투자 등 (자회사의 주요경영사항) 공시 – 그룹 성장 관련 |
제재 공시 | 코리안리 | [기재정정] 벌금 등의 부과 (자율공시) 공시 – 규제 리스크 반영 |
채무 보증 | 애경케미칼 | 타인에 대한 채무보증 결정 공시 – 재무 건전성 및 부채 부담 우려 |
채무 보증 | AK홀딩스 | 타인에 대한 채무보증 결정 (자회사의 주요경영사항) 공시 – 그룹 재무에 영향 |
채무 보증 | 효성중공업 | 타인에 대한 채무보증 결정 공시 – 부채 증가 우려 |
채무 보증 | 대우건설 | [기재정정] 타인에 대한 채무보증 결정 공시 – 정보 수정 영향 |
채무 보증 | 효성 | 타인에 대한 채무보증 결정 (자회사의 주요경영사항) 공시 – 그룹 재무 건전성 영향 |
채무 보증 | 제이에스코퍼레이션 | IR 타인에 대한 채무보증 결정 공시 – 재무 건전성 영향 |
채무 보증 | 씨에스윈드 | 타인에 대한 채무보증 결정 공시 – 부채 부담 가능성 |
바이오 임상 | SK바이오사이언스 | [기재정정] 백신 임상시험 IND 승인 공시 – 핵심 파이프라인 진전 |
5. 🗞 주요 뉴스 요약
순위 | 뉴스 제목 | 뉴스 요약 | 링크 |
---|---|---|---|
1 | 이재명 대통령 비상경제점검TF 2차 회의, 추경 속도감 있게 편성 지시 | 이재명 대통령이 9일 비상경제점검TF 2차 회의를 주재하며 취약계층·소상공인 우선 지원을 위한 추경 편성을 신속히 추진하라고 지시. 물가 안정 대책을 강조. | 링크 |
2 | 한국 증시 4거래일 연속 상승, 코스피 2850선 돌파로 11개월 만에 최고치 | 9일 코스피가 1.55% 오른 2855.77로 마감하며 4거래일 연속 상승, 지난해 7월 이후 최고치 기록. 장중 2867.27까지 상승. | 링크 |
3 | 외국인 대규모 순매수세 1조원 규모로 지수 상승 견인, 원화 강세 동반 | 외국인 순매수 9,766억 원, 원달러 환율 1356.40원으로 2원 하락하며 원화 강세. 시장 상승 견인. | 링크 |
4 | HK이노엔 케이캡 미국 진출 청신호에 14% 급등, 제네릭 우려 해소 | 경쟁약물 보퀘즈나 제네릭 진입 우려 해소로 HK이노엔 14.51% 급등, 목표주가 상향. | 링크 |
5 | 이재명 대통령 공직선거법 파기환송심 무기한 연기, 헌법 84조 근거 | 서울고법, 이재명 파기환송심 무기한 연기. 헌법 84조 재임 중 형사 소추 불가 조항 근거. | 링크 |
6 | 이재명-이시바 총리 첫 통화, 한미일 협력 틀 안에서 위기 대응 합의 | 이재명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25분 통화, 한미일 협력 강화 및 위기 대응 합의. | 링크 |
7 | 테슬라 트럼프-머스크 갈등 완화 기대감으로 4.55% 반등, 기술주 매수세 | 트럼프-머스크 갈등 해소 기대감에 테슬라 4.55% 상승, 기술주 강세. | 링크 |
8 | 미국 5월 비농업 고용지표 13만9천명 증가로 예상치 상회, 경기침체 우려 완화 | 5월 비농업 고용 13만9천명 증가, 예상치 상회하며 경기침체 우려 완화. 실업률 4.2% 유지. | 링크 |
9 | 한국 창작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 토니상 6관왕, 한국 뮤지컬 역사 새로 써 | “어쩌면 해피엔딩” 토니상 6개 부문 수상, 한국 최초 토니상 수상작. | 링크 |
10 | 미국 LA 불법이민자 단속 반대 시위 4일째, 트럼프 주방위군 투입으로 긴장 고조 | LA 불법이민자 시위 4일째, 트럼프 주방위군 투입 명령으로 긴장 고조. | 링크 |